최근 경기도 성남에 국내 첫 창고형 약국이 문을 열면서 큰 관심과 함께 여러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대형 매장에 2,500여 종의 의약품을 진열해 소비자가 직접 마트처럼 약을 골라 구매할 수 있는 이 시스템은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복약 지도 부족과 오용, 남용 위험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창고형 약국의 장점과 소비자 반응
창고형 약국은 130평 규모의 대형 매장에 다양한 약품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진열해, 소비자들이 직접 쇼핑 카트에 담아 계산대에서 결제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이곳에서는 두세 명의 약사가 복약 지도를 도와주지만, 대부분은 소비자가 스스로 약을 고르는 방식입니다.
실제로 소비자들은 “대량 구입 시 비교가 쉽고 편리하다”, “동네 약국에서는 약사 추천에만 의존했는데, 직접 보고 고를 수 있어 좋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고 있습니다.
약사들의 우려와 갈등
반면, 대한약사회와 현직 약사들은 창고형 약국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합니다. 약사의 직접 상담과 복약 지도가 약해지면서 잘못된 약 선택, 오용 및 남용이 늘어날 위험이 크다는 것입니다. 또한, 대량 구매가 가능해지면서 사재기와 불법 약 배송 문제도 우려됩니다.
일부 약사들은 창고형 약국 약사들이 환자 건강보다는 수익에만 집중한다는 비판을 내놓으며, 약사 커뮤니티에서는 창고형 약국 근무 약사들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과 비난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에 창고형 약국 측은 이러한 비난이 부당하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방향과 해결 과제
의약품 판매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전문가들은 새로운 형태의 약국에 맞는 법적·전문적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합니다. 정부 차원에서 소비자 안전을 보장하고, 약사의 역할과 공공성을 지킬 수 있는 규제와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할 시점입니다.
마치며
창고형 약국은 분명 소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새로운 시도입니다. 하지만 편리함 뒤에 숨겨진 복약 안전 문제와 약사-소비자 간 신뢰 갈등을 해소하지 않으면 오히려 혼란만 가중될 수 있습니다.
약국의 본질적인 역할인 건강 상담과 안전한 약 복용 안내가 훼손되지 않도록 정부와 업계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균형 잡힌 대책을 마련해야 할 때입니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여름 걱정…밤낮 없는 더위에 강릉 ‘7일째 열대야’ 계속 (0) | 2025.07.07 |
---|---|
대통령실 “특수활동비, 책임 있게 집행하고 소명하겠다” (0) | 2025.07.06 |
이재명 대통령 “민생회복 지원금으로 경제 선순환 만들 것!” (0) | 2025.07.06 |